본문 바로가기

플라스틱

내륙 수자원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수준과 비교 분석

1. 내륙 수자원 오염 조사의 필요성

내륙 수자원은 저수지, 호수, 하천, 강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지역 사회의 생활용수와 농업, 산업 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최근 여러 연구에서 내륙 수자원에서도 해양과 유사한 수준의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발견되고 있다. 특히, 유입원과 체류 시간, 수심 구조에 따라 오염 농도와 분포 형태가 크게 달라진다. 저수지는 상대적으로 유속이 느려 미세플라스틱이 장기간 축적되기 쉽고, 하천은 흐름이 빠르지만 상류에서 유입된 입자가 하류까지 빠르게 확산된다. 이러한 차이를 분석하면, 각 수자원 유형에 맞는 관리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2. 저수지와 하천의 오염 수준 비교

저수지에서는 표층수와 퇴적층 모두에서 높은 농도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다. 한 조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의 표층수에서 평균 35개의 입자/L, 퇴적층에서 최대 1,000/kg이 검출된 사례가 보고되었다. 이는 유입된 오염원이 장기간 체류하면서 점차 분해되고 축적되기 때문이다. 반면 하천의 경우 평균 입자 수가 13/L로 저수지보다 다소 낮지만, 강우 직후 유량이 증가하면 일시적으로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 하천은 지속적으로 물이 흐르기 때문에 퇴적층 축적량은 저수지보다 낮으나, 광범위한 지역으로 오염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내륙 수자원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수준과 비교 분석

 

3. 호수와 강의 오염 양상 비교

호수는 저수지와 유사한 정체 수역이지만 규모가 크고 외부 유입 경로가 다양해, 미세플라스틱의 형태와 재질이 더 폭넓게 나타난다. 일부 호수에서는 부유성 폴리에틸렌(PE)과 침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가 동시에 다량 검출되며, 이는 어업 활동과 관광 산업의 영향이 크다. 강은 상류·중류·하류에 따라 오염 특성이 뚜렷하게 구분된다. 상류는 농업 활동과 산림 지역에서 유래한 미세플라스틱이 주를 이루고, 중류와 하류는 도시 하수와 산업 폐수 영향으로 입자 수와 종류가 다양해진다. 특히 하류 강변에서는 하수처리시설 방류수에서 직접 유입된 합성섬유 입자가 자주 발견된다.

 

 

4. 비교 분석을 통한 관리 전략

내륙 수자원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수준을 비교한 결과, 정체 수역인 저수지와 호수는 장기 축적이 심각하며, 흐름이 있는 하천과 강은 확산 속도가 빠르다는 특징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저수지와 호수는 퇴적물 준설, 표층수 회수, 유입원 차단 등 장기 축적 관리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하천과 강은 비점오염원 관리, 강우 시 유입 차단, 하류 지역 필터링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계절별 변화와 강우 이벤트를 고려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각 수자원 특성에 맞춘 맞춤형 관리 전략을 실행하면, 미세플라스틱 확산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장기적인 수질 개선을 달성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