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플라스틱

저수지 물고기 먹이사슬 속 미세플라스틱 전이 과정

1. 저수지 생태계와 먹이사슬의 구조

저수지 생태계는 식물성 플랑크톤을 시작으로, 동물성 플랑크톤, 저서성 무척추동물, 작은 물고기, 그리고 상위 포식 어종으로 이어지는 복잡한 먹이사슬을 형성한다. 이 구조 속에서 각 생물은 하위 영양단계의 생물을 섭취하며 에너지를 얻는데, 최근 연구에서는 이 과정에서 미세플라스틱이 함께 전달되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플랑크톤 크기와 유사하거나 더 작은 입자는 물론, 필름·섬유 형태로도 존재해, 먹이와 쉽게 혼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은 저수지의 물고기가 미세플라스틱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환경을 만든다.

 

저수지 물고기 먹이사슬 속 미세플라스틱 전이 과정

 

2. 미세플라스틱의 1차 섭취 경로

미세플라스틱의 먹이사슬 전이는 주로 식물성 플랑크톤과 동물성 플랑크톤의 1차 섭취에서 시작된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물 속에 부유하는 초미세 입자를 함께 흡수할 수 있으며, 이를 먹은 동물성 플랑크톤은 체내에 미세플라스틱을 축적하게 된다. 이후 작은 물고기나 새끼 어류가 이 플랑크톤을 먹으면, 체내로 미세플라스틱이 이동한다. 특히 플랑크톤 단계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축적되면, 그 양은 시간이 지날수록 상위 포식자로 갈수록 농축되는 생물 농축현상을 일으킨다. 이 과정은 물고기의 성장 속도, 섭취 빈도, 서식 수심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3. 상위 포식자에게 전이되는 과정

작은 물고기 체내에 축적된 미세플라스틱은 이를 먹는 중형 및 대형 어류로 전이된다. 이때 상위 포식 어종은 한 번의 식사에서 다량의 작은 물고기를 섭취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많은 양의 미세플라스틱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일부 미세플라스틱은 어류의 소화기관에서 완전히 배출되지 않고, 장기 내벽에 부착되거나 간과 같은 조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전이 과정은 단순히 개별 어류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것을 넘어, 전체 저수지 생태계의 먹이망 안정성을 위협한다. 결과적으로 어류의 개체 수 감소, 성장률 저하, 번식률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4. 먹이사슬 전이의 관리와 예방 필요성

저수지에서 미세플라스틱의 먹이사슬 전이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초기 오염원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저수지 유입수의 플라스틱 오염을 감시하고, 주변 농업·생활 폐기물 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또한, 물고기의 먹이 기반이 되는 플랑크톤과 저서성 무척추동물의 서식 환경을 보호하면 1차 섭취 단계에서의 유입을 줄일 수 있다. 정기적인 어류 조직 분석과 수질 검사를 통해 전이 수준을 모니터링하고, 낚시나 양식 어류 관리에도 미세플라스틱 저감 지침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예방 조치가 이루어져야만 저수지 먹이사슬의 건강성과 지속가능성이 보장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