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플라스틱

농업용 저수지 속 미세플라스틱 농도, 과연 안전할까?

1. 농업용 저수지의 숨겨진 오염, 미세플라스틱

농업용 저수지는 주로 논과 밭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조성되며, 농촌 지역의 식량 생산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겉보기에는 깨끗하고 고요한 수면을 가진 저수지지만, 그 속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오염 물질이 존재한다. 바로 미세플라스틱이다. 미세플라스틱은 5mm 이하 크기의 플라스틱 조각으로, 비닐, 페트병, 합성섬유 등 일상에서 흔히 쓰이는 플라스틱 제품이 햇빛·바람·물리적 마찰에 의해 잘게 부서져 생성된다. 해양의 미세플라스틱 문제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지만, 농업용 저수지 속 상황은 상대적으로 연구와 보도가 부족하다. 최근 환경 조사에서 일부 농업용 저수지의 1리터 물속에서 평균 수십 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으며, 이는 해안가 해수에서 측정된 수치와 비교해도 결코 낮지 않은 수준이다.

 

농업용 저수지 속 미세플라스틱 농도, 과연 안전할까?

 

2. 농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의 주요 원인

농업용 저수지에 미세플라스틱이 축적되는 주요 원인은 농업 현장에서 직접 발생하는 플라스틱 쓰레기다. 대표적인 사례는 비닐멀칭이다. 작물 재배 시 잡초 억제와 수분 보존을 위해 사용하는 멀칭 필름은 사용 후 수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햇빛과 비바람에 의해 잘게 찢어지고 저수지로 흘러간다. 비닐하우스의 폐자재나 농산물 포장재 역시 미세플라스틱의 또 다른 원천이다. 이 외에도 농기계 세척 과정에서 떨어져 나오는 합성섬유 조각이나 고무 마모 가루가 빗물과 함께 저수지로 유입된다. 특히 장마철이나 집중호우 시기에는 주변 농경지와 하천에서 다량의 플라스틱 입자가 저수지로 흘러들어와 단기간에 농도가 급상승할 수 있다. 이렇게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수면에 부유하거나 바닥 퇴적층에 쌓여 장기간 남는다.

 

 

3. 농업용수 속 미세플라스틱이 농작물과 인체에 미치는 위험

농업용 저수지 속 미세플라스틱은 단순히 물속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농작물과 인체 건강에도 직결된다. 일부 연구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농업용수를 통해 논과 밭으로 이동해 작물 표면에 부착되거나 뿌리를 통해 일부 흡수될 수 있다고 보고했다. 작물에 흡수된 미세플라스틱은 가공 과정에서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으며, 결국 소비자의 식탁에까지 전달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미세플라스틱 표면에는 중금속, 농약, 유기화학물질 등 유해 성분이 흡착될 수 있어, 먹이사슬을 통해 인체로 유입되면 염증, 호르몬 교란, 면역 기능 저하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더불어 농업용 저수지에서 잡히는 어류나 수생생물에도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사례가 있어, 지역 주민들의 식생활 안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농업용 저수지 미세플라스틱 저감을 위한 대책

농업용 저수지 속 미세플라스틱 농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유입 차단이 우선이다. 농업 현장에서는 비닐멀칭 대신 생분해성 필름을 도입하고, 사용한 농업용 비닐을 즉시 수거하는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또한 저수지 주변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주민 참여형 환경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하천 유입구에는 미세 필터망을 설치해 플라스틱 입자가 직접 저수지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저수지 바닥 퇴적층 준설 작업과 표면 부유물 수거를 주기적으로 실시해 오염 축적을 줄여야 한다. 무엇보다 농업인과 주민들에게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성을 알리고, 올바른 폐기물 처리 방법을 교육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렇게 하면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을 개선하고, 농작물과 인체 건강 모두를 지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