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플라스틱

저수지 마이크로 플라스틱, 도시 하수와 어떤 관계일까?

1. 저수지 마이크로 플라스틱 오염의 배경

저수지는 농업, 산업, 생활용수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자원이다. 그러나 최근 조사에서 국내외 다수 저수지의 수질에서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검출되고 있으며, 그 농도가 일부 도시 인근 저수지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다. 마이크로 플라스틱은 플라스틱 폐기물이 햇빛, 마찰, 화학 반응 등을 거쳐 잘게 분해되면서 생성된 입자로, 크기가 작아 물속에서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이러한 입자는 저수지에 장기간 부유하거나 바닥 퇴적층에 쌓이며, 계절과 강우량, 주변 환경에 따라 농도가 변한다. 특히 도시와 가까운 저수지에서는 하수 처리 과정에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이 주요 오염원으로 지목되고 있다.

 

저수지 마이크로 플라스틱, 도시 하수와 어떤 관계일까?

 

2. 도시 하수를 통한 미세플라스틱 유입 경로

도시 하수는 저수지로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전달되는 핵심 경로 중 하나다. 가정에서 빨래 시 발생하는 합성섬유 미세조각, 샤워·세안 시 사용되는 화장품 속 마이크로 비즈, 주방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포장재 조각 등이 하수관을 따라 하수처리장으로 흘러간다. 하수처리장에서는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처리 과정을 거치지만, 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플라스틱은 여과망을 통과해 방류수에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하수 방류수가 하천으로 흘러가면, 결국 그 물길의 끝에 위치한 저수지에까지 도달한다. 특히 강우 시에는 빗물과 함께 하수관의 용량이 넘치면서 처리되지 않은 오염수가 직접 하천과 저수지로 유입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3. 도시 하수 유입이 저수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도시 하수를 통해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저수지 생태계에 복합적인 악영향을 미친다. 입자가 물고기, 조개, 수서곤충 등 수생 생물의 먹이사슬에 들어가면, 영양분 흡수 방해와 소화기관 손상을 유발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 표면에는 하수 속 유기물, 중금속, 병원성 미생물 등이 흡착될 수 있어, 단순한 물리적 오염을 넘어 화학적·생물학적 위험이 동반된다. 이러한 오염은 저수지를 통해 공급되는 농업용수와 생활용수의 안전성을 위협하며, 장기적으로는 토양, 농작물, 그리고 인간 건강까지 영향을 미친다. 특히 도심 하수의 지속적 유입은 저수지의 자정 능력을 초과하게 만들어 오염이 점점 누적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4. 하수 기반 미세플라스틱 오염 저감을 위한 해결책

저수지로 유입되는 도시 하수 기반 미세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서는 원천 차단과 처리 기술 개선이 필요하다. 우선, 하수처리장에 미세입자 전용 고효율 여과망과 고급막여과(Membrane Filtration) 기술을 도입해 방류수 속 미세플라스틱을 최소화해야 한다. 가정과 산업 현장에서는 세탁망 사용, 합성섬유 대신 천연섬유 제품 사용, 화장품 속 마이크로 비즈 규제 강화 등이 필요하다. 또한 강우 시 하수관 용량 초과로 인한 직접 유입을 막기 위해 우수·오수 분리 시스템을 보완해야 한다. 나아가 도시민과 농촌 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플라스틱 저감 캠페인과 하천 정화 활동을 정례화하면, 장기적으로 저수지의 마이크로 플라스틱 농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다각도의 접근이 이루어질 때, 도시 하수와 저수지 오염의 악순환을 끊을 수 있다.